PMA

#항공 #FAA #MRO #대체부품 #PMA대체부품

항공 PMA(Parts Manufacturer Approval) 한눈에 이해하기

PMA(Parts Manufacturer Approval) 는 미국 FAA가 [항공기용 교체·개조 부품을 제조·판매할 수 있도록 부여하는 공식 승인 제도]임. PMA 부품은 설계 적합성(항공기 형식기준 충족)과 제조 품질 시스템을 모두 검증받아야 하며, 승인 후에야 상업 출하·장착이 가능함.

HEICO(HEI) 같은 주요 공급사들은 수천 개의 PMA 부품을 보급해 왔고, 항공사·MRO의 유지비 절감 수단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음. 실제로 HEICO는 수천만 개 단위의 PMA 부품을 무사고로 공급해 온 품질 트랙레코드를 커뮤니케이션해 왔음.

  • 왜 중요한가: OEM 순정부품 대비 30~50% 저렴한 가격으로 동등 이상의 성능·안전성을 제공, 항공사 정비비용(TCO) 절감에 기여함.

  • 진입장벽: 승인 심사는 시간·비용이 큰 고강도 프로세스로, 축적된 규제 대응 역량과 품질 시스템이 곧 경쟁력의 핵심 무기임.


PMA 승인 근거와 절차(요약)

  • 승인 근거(대표 경로)

    • 설계 적합성 입증: 시험·계산(Test & Computation) 또는 “동일성(Identicality)” 기반(권리자 라이선스 등)으로 형식기준 충족 증명
    • 제조 품질 시스템: FAA 요구(QMS) 충족, 추적성/표시/변경관리 체계 구비
  • 절차(일반 흐름)

    1. 대상 부품·적용 기체/엔진/기체군 정의 → 2) 설계 검증(시험·해석)과 생산시스템 심사 준비 → 3) FAA 심사(설계·품질) → 4) PMA 부여 → 5) 표기·추적성 체계로 양산/출하
  • 설치·운영 시 고려

    • 해당 기체·엔진의 형식증명(TC)과 정비문서 적합성 확인, 정비기록(Logbook) 반영
    • 특정 키트/개조 솔루션은 STC(보조형식증명) 와 연계되어 장착 승인이 진행되기도 함. 기업들은 PMA 승인 이후에 STC 개발·출하를 본격화한다고 밝힘.

OEM/TSO 대비 PMA의 위치

  • OEM 순정부품: 설계권자 공급, 가격이 높고 리드타임이 길 수 있으나 호환·보증관계에서 유리할 때가 있음

  • TSO 부품: TSO 성능기준을 만족하는 “표준장비” 승인. 특정 기체 적용을 위한 별도 적합성 확인이 필요할 수 있음

  • PMA 부품: 특정 기체·엔진 적용을 전제로 설계·제조 승인. 동등성 입증을 통해 OEM 대비 비용 절감과 공급다변화 장점. 항공사들이 선호하는 사례가 늘고 있음

핵심은 “법적·기술적 동등성”과 “품질 시스템”이며, FAA가 이를 통해 안전성을 담보한다는 점임. 업계에서는 대량의 공급 실적·무사고 기록을 중요한 신뢰 지표로 본다.


산업·사업 관점 포인트

  • 경제성: PMA는 항공사 정비 P&L에 직접 기여(부품 단가·리드타임). 대형 공급사는 대량 포트폴리오로 구매 효율 제공.

  • 규제 역량 모트: 승인·유지·감사 대응 체계는 쉽게 복제되기 어려운 진입장벽. 분석가들은 이 프로세스 자체가 기업의 ‘해자’를 구성한다고 평가.

  • 파이프라인: 항공전자·위성통신 단말 등 신제품도 PMA 승인으로 출하가 본격화됨. 예컨대 일정 단말/터미널에 대해 PMA 승인 후 출하·STC 개발을 시작한다고 밝히는 기업도 있음.

  • 엔진·핵심부품: 엔진 파츠에서도 PMA를 확대하는 추세. 예를 들어 특정 기업은 두 번째 엔진 파츠 PMA 승인을 발표한 바 있음.


대표 기업

  • HEICO(HEI) - 항공기 애프터마켓 PMA 부품 최대급 공급사. FAA 승인 부품을 OEM 대비 30~50% 저렴하게 공급, 누적 수천만 개 이상 공급 실적을 보유.

  • Gogo(GOGO) - 항공 기내통신(IFE/IFC) 장비·단말. 특정 단말/터미널의 PMA 승인으로 출하 및 STC 개발을 진행한다고 언급.

  • FTAI Aviation(FTAI) - 항공 엔진 애셋·서비스. 엔진용 PMA 부품 승인 확대(두 번째 엔진 부품 PMA 승인 발표).

이 밖에도 다수의 애프터마켓·MRO·STC 개발사가 PMA 포트폴리오를 확대 중이며, 자본시장 커뮤니케이션에서 FAA 승인 진척을 핵심 마일스톤으로 다룬다.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