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I

#물가 #생산자물가

PPI (Producer Price Index, 생산자물가지수)

PPI는 국내 생산자가 받는 판매가격의 평균 변화를 측정합니다. 미국 노동통계청에서 발표하며, 생산 단계에서의 인플레이션 압력을 파악하는 선행지표 역할을 합니다.

주요 특징:

  • 측정 대상: 생산자가 받는 출고가격
  • 구성 요소: 원자재, 중간재, 완제품 가격
  • 발표 주기: 매월 중순 발표 (CPI보다 1-2일 먼저)
  • 중요성: 향후 소비자물가 상승 압력을 예측하는 선행지표

PPI 시나리오별 시장 영향

🔴 시나리오 1: PPI 급상승

  • 선행성: CPI 상승 압력 예고 → 선제적 시장 반응
  • 원자재 섹터: 에너지, 원자료 관련 주식 상승
  • 소비재 기업: 마진 압박 우려로 주가 하락 압력
  • 인플레이션 기대: 상승 → 실질금리 하락 가능

Reuters 분석에 의하면, “7월 PPI 연간 상승률이 2.2%로 6월 2.7%에서 둔화되면서 수익률이 하락했다"고 보도했습니다.

🟢 시나리오 2: PPI 둔화

  • 디스인플레이션 신호 → 향후 CPI 안정화 기대
  • 제조업 주식: 원가 부담 완화 기대로 상승
  • Fed 정책: 완화적 스탠스 유지 가능

복합 시나리오

🔥 고인플레이션 시나리오 (CPI↑ + PPI↑)

  • 10년국채 수익률: 4.5-5.0% 상승 가능
  • 주식시장: 대폭 조정, 특히 고PER 성장주
  • 섹터 로테이션: 금융주, 에너지주 강세 / 기술주 약세
  • 원자재: 금, 원유 등 인플레이션 헤지 자산 주목

❄️ 디스인플레이션 시나리오 (CPI↓ + PPI↓)

  • 금리 환경: 금리인하 사이클 진입 기대

  • 주식시장: 전반적 랠리, 특히 듀레이션이 긴 성장주

  • 달러 약세: 신흥국 자산 유입 증가

  • 주요 이벤트 일지

    • 2023년
      • 2023-07-14
        • **[지표 결과]

          • 미국 6월 PPI 역시 시장 컨센서스 하회. 전월치도 하향
          •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시장 예상보다 적은 +23.7만건 기록
          • 물가안정 기대와 견고한 고용시장의 지표 조합
        • **[금융시장 반응]

          • 발표 전
            • 전일 CPI가 낮았기 때문에 PPI도 낮게 나올것으로 전망하며 전반적으로 나스닥 선물과 기타 지표들은 소폭 오름세
          • 발표 후
            • 증시
              • 나스닥이 급등하면서 빅테크 중심으로 강한 상승세 보임. 미국상장 중국(홍콩)지수들도 일제히 급등세를 보이며 위험자산 선호 강화
            • 외환(DXY)
              • DXY 급락 100선 하회
            • 원자재(구리/WTI)
              • 구리, WTI모두 강세
        • **[시장 평가]

          • 시장은 7월 FOMC에서 이제 끝이야! 란 말을 해주길 바라는 모양세
          • 걱정의 벽을 타고 주가가 오르듯. 2년간의 고금리가 끝나가는 것을 모두가 염원하는 것처럼 증시는 크게 오르면서 나스닥이 15,000 돌파하는 기염을 보임
        • **[시사점 / 향후전망]

          • 물가에 대한 고민은 한 풀 꺾여가는 것처럼 보임. 시장은 이제 잭슨홀과 FOMC로 시선을 옮기며 파월이 이야기할 “지표를 더 확인해야 한다. HFL!“의 스탠스가 얼마나 강할지에 초점을 맞출 듯
  • 원문 링크 : Economic News Releases :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