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as

#로봇 #렌탈
  • 관련테마: 로봇, 렌탈산업

  • 기본정보

    • RaaS(Robot as a Service)는 구독 서비스를 바탕으로 도입에서부터 AS에 이르기까지 토털 솔루션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보통이다. 로봇 제조사는 기업이나 개인이 로봇을 도입할 수 있도록 컨설팅하고, 로봇 SI, 실시간 유지보수, AS 등을 토털 서비스로 제공하는 형태다.
    • 초기 RaaS 시장은 로봇 대여와 유지보수, 운용 솔루션(관제 SW 등), 기타 설비와의 연계 등 로봇 도입의 A to Z 를 제공하는 통합 서비스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RaaS 시장 형성에 따라서 가격이 비싸고 운용이 어려워 도입을 꺼렸던 기업들도 월 수십 만원의 비용으로 손쉽게 로봇 도입을 시도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기업 운영 측면에서도 로봇 수요 기업은 로봇을 CAPEX 가 아닌 OPEX(고정비/월 정액 렌탈, 변동비/매출과 출하 등에 연동되어 비용 발생)로 전환하여 [초기 현금 지출을 억제]할 수 있고, [공급 기업은 일회성 판매 수익이 아니라 월 단위로 안정적인 수익 흐름 확보와 운영과 유지보수 등 부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 렌탈&솔루션 외에 새로운 유형의 서비스도 속속 공개되고 있다. 할부와 리스 등 금융 서비스를 비롯해 로봇 보험, 중고 로봇 거래플랫폼, 로봇 이커머스 등 로봇 관련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들이 출시되고 있어 로봇 이용자로 하여금 더욱 다양한 선택지를 두고 고려할 수 있는, 성숙한 시장으로 나아가고 있다.
  • 세부정보

    • 국내 주요 RaaS

    • Geek+의 로봇 렌탈 서비스 및 오퍼레이션 서비스를 제공

      • 번한기에 1 개월 단위로 로봇 렌탈이 가능한 쉐어링 서비스와, 작업량에 따른 월별 요금 부과 등 다양한 형태의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다. RaaS 활성화에 따라 물류 로봇 도입에 대한 가격 장벽이 점차 낮아질 것으로 기대되며, 로봇 이용 기업의 수요에 맞는 유연한 활용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
마지막 수정 일자